육아휴직 6+6 제도 | 부모 모두 최대 450만원 받는 법
자녀와 보내는 시간, 소중한 만큼 경제적 여유도 중요하죠
2025년 개편된 6+6 육아휴직 제도는
부모 모두에게 고르게 혜택을 제공하며
"지금이 육아휴직 쓰기 가장 좋은 시기"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
부모 모두에게 혜택 - 6+6 육아휴직의 핵심 구조
6+6 제도는 이름 그대로
부모가 각각 6개월씩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
상대적으로 더 높은 금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
동시든 순차든 상관없이
각자 처음 6개월 동안은 상한선이 크게 올라가며
한 명당 최대 450만원까지 지급받을 수 있어요
맞벌이 부부라면 총 900만원도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
2025년 개편 포인트 - 무엇이 달라졌나?
이번 개편에서 가장 큰 변화는 바로
사후지급금 제도의 폐지입니다
예전에는 일부 금액을 복직 후에 받아야 했지만
이제는 육아휴직 중 전액 지급으로 바뀌었어요
그리고 상한액도 월별로 다르게 인상되었는데요
예전엔 1~3개월만 100%였지만
2025년부터는 6개월 모두 100% 통상임금 적용됩니다
단, 상한액 기준은 적용됩니다
월 최대 450만원? - 실제 급여 계산 방법
급여는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하며
다음과 같이 매달 상한선이 올라갑니다
1개월차 250만원
2개월차 250만원
3개월차 300만원
4개월차 350만원
5개월차 400만원
6개월차 450만원
통상임금이 이 금액을 넘지 않는다면
6개월 동안 100% 받을 수 있고
이후 7개월차부터는 80%로, 최대 160만원까지만 지급됩니다
한부모 가정은 처음 3개월까지
매달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됩니다
육아휴직 신청 조건 - 누구나 받을 수 있을까?
기본 조건은 단순하지만 중요한 포인트가 있어요
-
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일 것
-
자녀는 육아휴직 시작 시점에 생후 18개월 이내여야 함
-
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것 (동시 or 순차 사용 가능)
공무원, 사립학교 교원 등은 별도 규정이 있으니
소속 기관별로 다시 한번 확인이 필요해요
동시 사용 vs 순차 사용 -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할까?
부부가 동시에 사용하면
같은 시기에 자녀와 함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
순차적으로 사용하면
총 육아휴직 기간을 더 길게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
6개월씩 교대로 사용하는 경우
자녀 생후 18개월 이내라는 조건만 지키면
각자 급여 상한액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
한부모와 특수 상황 - 우대 조건은 무엇인가
한부모 가정은 부모가 한 명뿐이므로
조건을 따로 충족하지 않아도
1~3개월차에 월 최대 300만원까지 바로 받을 수 있어요
또한 중증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경우
우선순위나 기간 연장 등 추가 혜택이 주어지며
정부의 다른 지원제도와 중복 적용도 가능합니다
신청 절차와 실천 가이드 - 놓치지 말아야 할 체크포인트
신청 순서는 간단하지만
꼭 챙겨야 할 서류와 타이밍이 중요합니다
-
회사에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
-
고용센터에 급여 신청 (온라인/오프라인 모두 가능)
-
급여 내역은 매월 확인 필수
또한 부부 합산 최대 3년,
개인당 최대 1년 6개월까지 가능하며
4회까지 분할 신청이 가능합니다
댓글 쓰기